2차표준교정기관에서 교정을 진행할 때에 피교정용 측정기의 교정계수 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이용한다.
(이는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한 흡수선량이 서로 같은 것을 기본 명제로 두고 구하는 방식이다)
은 교정기와 피교정기의 교정계수 (Gy/nC)
는 교정용 측정기와 피교정용 측정기가 각 교정계수의 환경기준에서 측정을 시행하였을 경우의 리딩 (nC)
실제는 교정계수의 환경기준을 정확하게 맞춰서 측정할 수 없기에 아래와 같이 온도기압 보정을 추가(\( M^\prime =M \cdot k_{T, P} \))하여 교정계수의 환경기준에서의 리딩으로 변환한다.
는 교정기와 피교정기의 리딩 (nC)
는 교정기와 피교정기의 온도기압보정
교정기의 측정환경 (온도, 기압)
피교정기의 측정환경(온도, 기압)
교정기와 피교정기의 환경기준이 다르다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교정기의 환경기준(온도, 기압)
피교정기의 환경기준(온도, 기압)
이렇게 교정이 된 피교정기를 이용하는 각 기관은 TRS398등의 선량계산 formalism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선량측정을 하게 된다.
만약 교정기와 피교정기의 환경기준을 동일하다고 생각해서를 발행했으나, 교정기와 피교정기의 환경 기준이 달랐다면 어떻게 보정을 해야할까?
발행된 교정계수는 를 환경기준으로 발행되어
가 되어있을 것이다.
이 교정계수를 발행하였을 때의 수식은 위의 방정식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발행하여야 했을 교정계수는 을 환경기준으로 발행하여
가 되었어야 한다.
이 교정계수를 발행하였을 때의 수식 또한 위의 방정식들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의 두 교정계수를 확인하였을 때 동일한 환경기준이라 생각하고 교정된 피교정기를 다른 환경기준으로 바꿔서 발급할 경우 두 교정계수의 비율은
와 같으며, 다시 말해, 교정기와 환경기준에 대해서 피교정기의 교정계수에 다음을 보정해주면 된다.
당연하지만, 교정기의 환경기준과 피교정기의 환경기준이 같다고 한다면(,
) 비율은 1이 되며 보정 없이 교정계수를 발급하는 것도 같다.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정에 있어서의 온도기압 보정, 환경기준에 대해 (0) | 2017.11.07 |
---|---|
Fluence단위인 pps(particle per second)를 A(Ampere)로 변환하자. (1) | 2016.03.06 |
입자선(proton, carbon등)의 비정의 실험적 계산식 (0) | 2016.03.03 |
베크렐(Bq)에서 시버트(Sv)로 - 감마선에 대해 (0) | 2016.03.03 |
방사능과 방사선의 단위(뢴트겐, 퀴리, 베크렐, 그레이..) (0) | 2016.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