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이용하자

AutoHotKey 입력언어/키보드레이아웃 변경 단축키 만들기 한, 영, 일 키보드를 왔다갔다 하다보니 레이아웃이 햇갈려서 만들어보았다. 우측Alt(한/영키)와 J를 누르면 일본어, K를 누르면 한글, L을 누르면 영어로 바꿀 수 있도록 해보자 en := DllCall("LoadKeyboardLayout", "Str", "00000409", "Int", 1) ;영어 키보드 레이아웃을 en으로 선언 jp := DllCall("LoadKeyboardLayout", "Str", "00000411", "Int", 1) ; 일본어 키보드 레이아웃을 jp로 kr := DllCall("LoadKeyboardLayout", "Str", "00000412", "Int", 1) ; 한국어를 kr로 SetLayout(language) ; 함수 대충 언어 레이아웃을 변경해준다는 내용 {.. 더보기
AutoHotKey 일본어도 한글처럼 한영 키로 일영 전환 if A_Language=0411 ;; 일본어일 경우 { RAlt:: ;; 오른쪽 Alt(한/영 전환버튼)을 누르면 Send !`` ;; 왼쪽 Alt(!)와 backtick(`)을 전송한다. 이 때 backtick이 2개인 이유는 backtick이 c++의 \처럼 이용되기 때문 if WinActive("Google Chrome") ;; 만약 Google Chrome 이 실행중이라면 Send, {Esc} ;; Esc도 눌러준다 (크롬에서는 Alt가 눌린상태가 되기 때문) return } 더보기
AutoHotKey 마우스 클릭 지정 간단한 키 지정 AutoHotKey 메모장을 열고`::LButton ;; ` 버튼을 좌클릭과 동일하게 설정`::RButton ;; ` 버튼을 우클릭과 동일하게 설정 노트북상에서 귀찮은 Drag And Drop을 편하게 이용하기 위해 버튼(backtick)을 마우스 클릭으로 지정하는 방식이다. 더보기
Tistory에서 수식 이용 -설정 관리페이지->HTML/CSS편집에서 와 사이에 다음을 추가한다. -사용 --문장내에서 수식 입력시 기본값으로 '\(' '\)' 을 입력 시작 입력 끝 기호로 갖는다.\( E=mc^2 \)다음과 같은 출력을 가진다.\( E=mc^2 \) --단락으로의 수식 입력은 '$$' ... '$$'이 입력시작 입력 끝 기호이다.$$ E=mc^2$$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 E=mc^2$$ 더보기
(리눅스) 각종 찾기 커맨드 (폴더, 파일, 문자열을 찾아보자) 터미널에서 커맨드를 이용해 원하는 폴더, 파일, 문자열을 찾는 방법을 서술한다. 우선, 폴더와 파일을 폴더, 파일명 (혹은 각각의 이름 일부)로 찾을 때는 find 를 사용한다. find 의 옵션은 다음과 같다.-name '[파일/폴더명]' 이름 지정-type [d 또는 f] 디렉토리 혹은 파일 선택 (d는 디렉토리(폴더)를, f는 파일을 의미한다)-ls ls -l을 했을 때와 같이 정보를 표시한다.-i 대소문자 무시 $ find /home/soo/ -iname 'bula*' -type d /home/soo라는 디렉토리 하위의 bula(대소문자 무시)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를 찾는다. $ find / -name '*.hwp' -type f -ls hwp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에서 찾기 때문에.. 더보기
컴퓨터로 인터넷 중계, 컴퓨터 두대에서 인터넷 쓰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쓸 수 있다.루터가 없는데 랜카드가 2개인 컴퓨터가 한대 이상 있다.노트북(무선랜카드와 유선랜카드가 있는 기기)를 이용해 데스크톱에 인터넷을 제공하고싶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인터넷 연결을 받을 컴퓨터는 각종 구성을 자동으로 설정해 놓는다.(Windows) 네트워크 연결 - 속성 - [네트워킹 탭] Internet Protocol Version 4(TCP/IPv4)-[일반 탭] 자동으로 ip주소 받기,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 설정(Ubuntu) Network connection - Edit - IPv4 Setting - [Method] Automatic(DHCP)로 설정 인터넷을 중계해 줄 컴퓨터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Windows) 네트워크 연결 - 두 랜카.. 더보기
Ubuntu의 64bit 32bit 확인법 ubuntu 인스톨 중에 시디가 32 bit인지 64 bit인지 모르게 되었다. ubuntu install 전에 try ubuntu를 눌러 터미널을 열고 다음 커맨드를 입력하자 $ getconf LONG_BIT $ uname -m 더보기
tar을 이용한 압축, 압축해제 tar는 .tar 확장자와 .gz 확장자 를 가진 파일로 압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linux에서 자주 쓰이는 명령어이다. 우선 tar의 옵션은 다음과 같다.-c 파일을 tar로 묶음-p 파일 권한을 저장-v 묶거나 파일을 풀때 과정을 출력-f 파일이름을 지정 -C 경로를 지정-x tar 압축풀기-z gzip으로 압축하거나 해제함 예를 들면서 익혀보자tar -cvf (압축할 파일명).tar (압축할 파일 또는 폴더)tar -zcvf (압축할 파일명).tar.gz (압축할 파일 또는 폴더)tar -xvf (압축을 풀 파일명).tartar -zxvf (압축을 풀 파일명).tar.gztar -xvf (압축을 풀 파일명).tar -C (압축을 풀 위치) v를 뺄 경우, 압축과정이 출력되지 않으므로 터미널 화면을.. 더보기
MS office 에서 수식입력기를 사용하자 MS Office 내에서 수식편집기 입력방법 파워포인트/워드에서 수식 입력할 때 Toolbar(리본) 버튼을 누르면서 작업을 하면 마우스와 키보드를 오가면서 시간이 많이 낭비된다. 구글링을 통해 키보드만으로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이상하지만, 아무리 찾아도 오피스의 수식 입력기 단축키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리된 매뉴얼은 없는 것 같다... 수식 입력기 호출하기 2010 이상에서는 수식▼에서 새로운 수식 삽입을 quick access tool bar에 등록해 놓고, Alt+(등록 번호)를 누르는 것으로 바로 수식입력기를 호출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Alt키를 눌러 리본 메뉴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해도 알 수 있지만, Alt+N+E+I 단축키로 수식입력기를 호출한다.(워드의 경우) 그러나, .. 더보기
Screen session (Linux 터미널) 사용법 Screen session은 서버에 작업을 실행시킨 채로 로그아웃을 할 수 있어, 서버에서의 작업에 유용하게 쓰인다. Screen session의 이용에는 기본적으로 screen프로그램의 설치가 필요하다. 1. 쉘모드 명령어(1) screen- screen 을 시작 하는 기본 명령입니다. - 기본 세션명으로 시작합니다. (2) screen -S [name]-S 다음에 주는 [name]으로 시작합니다. - screen -list : -list 옵션을 주고 실행하면 이전에 작업했었던 screen 리스트가 있으면 [name]과 함께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3) screen -R [name]: 이전에 세션이 있을 경우 -R 다음에 오는 [name]으로 이전 작업을 불러옵니다. : -R 다음에 [name]을 주지.. 더보기